로스앤젤레스타임스에 따르면 미국 대학에서 한국어가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2019년 미 현대언어협회가 발표한 ‘2013년에서 2016년까지 미국 내 대학교 외국어 수강 신청 최종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어와 중국어 수강 신청은 8,000% 증가한 반면 한국어는 53,000% 이상 증가했다. 미 현대언어협회(MLA: The Modern Language Association of America)는 언어와 문학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장려하는 단체로 5년마다 설문조사를 통해 각 대학의 언어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발표한다. 미국 내 한국어 교사들의 학술단체인 북미한국어교육학회(AATK)도 120여 개 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 또는 부전공으로 채택하고 있다는 자료를 공개했다. 외국어와 문화 교육으로 유명한 버몬트주 미들베리 대학의 한국어학원 강사희 교수는 “한국어가 작은 언어 중에 하나였는데 2008년부터 2013년까지 5년 동안 44%의 급속한 발전을 이뤘다. 다른 언어에 큰 폭으로 상승했다.”라고 말했다. 미국 대학에서 한국어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원인에 대해 학자들은 K-POP과 한국 드라마 등의 ‘한류’ 영향을 꼽는다. 강사희 교수는 한국어
"방탄소년단(BTS), 한복, 동요, 아리랑 그리고 손흥민까지 걸고 넘어지다니…." 최근 중국 일각에서 한류에 대한 반감 수준이 아니라 아예 한국의 대표 문화가 대부분 중국에서 유래했다며 '중국 기원설'을 내세우자 양국 네티즌간 공방이 뜨겁다. 중국은 지난 2016년 한중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사태가 가열되자 비공식적인 보복 조치로 '한한령'(한류 제한령·限韓令)을 통해 한류에 빗장을 걸었다. 이후 지금까지도 여전히 K팝 스타의 중국 본토 공연이 제한되고 한류 스타의 중국 활동도 막혀있다. 최근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의 방한설이 나오는 등 한중 관계 개선이 타진되는 가운데 중국 일각에서 BTS를 비난하고 한복을 중국 조선족 복식이므로 중국 문화라고 주장하는 상황이 벌어지자 양국 간 원활한 교류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일각에서는 최근 들어 왜 갑자기 이런 주장을 거세게 하는 걸까. 그 이면에는 뿌리 깊은 중화사상을 중심으로 미중 갈등, 애국주의, '소황제'(小皇帝·응석받이로 자란 1980년대 이후 출생자들)가 맞물리면 터져 나온 게 아니냐는 해석이 적지 않다. 20여 년간 중국 생활을 해온 한 대학 교수
최근 방탄소년단 'BTS'의 신곡 "다이너마이트"가 출시하고 미국 빌보드를 1위를 차지했다. 싸이의 "강남스타일" 이후 처음으로 한류가 미국 음원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는 역사적인 업적을 이루었다.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도 아카데미 수상과 오스카 수상을 하면서 한국의 문화강국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줬다. 한류의 성공적인 해외 시장 진출은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큰 관심이 쏠리게 되었다. SK증권 연구원 이진만은 "전기차 배터리 기술, 신약 치료 개발과 함께 '빅히트' 같은 엔터테인먼트 그룹들이 한국 주식시장에 새로운 원동력이다"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해외에 비치는 한국 엔터테인먼트계의 화려한 면모와 달리, 국내 사정은 어둡고 참담한 현실이 있었다. 요 2년간 한국은 정치인부터 연예인들까지 연루된 미투 사건들이 불거지고, 젊은 여성들과 미성년자 대상으로 발생한 일련의 성폭력 관련 사건들이 발생했다. 북캐롤라이나 주립대(University of North Carolina) 모현주 연구원은 '엔터테인먼트 산업계가 생산하는 콘텐츠는 팬층, 특히 여청소년의 중독을 유발한다'며 연예계로부터 파생되는 커뮤니티들은 젊은 사람들의 현실도피처가 되어버렸다고 주장했다. 연예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