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라루스에서 권위주의 정권에 맞서 대선불복 시위를 주도하는 야권 여성 지도자들이 내년 노벨평화상 후보에 올랐다. 18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노르웨이 기독민주당 소속 게리르 토스케달 의원은 스베틀라나 티하놉스카야, 마리야 콜레스니코바, 베로니카 체프칼로를 노벨위원회에 수상후보로 추천했다고 밝혔다. 토스케달 의원은 "공정한 선거를 위해 애쓰고 정통성 없는 체제에 맞서는 평화적인 저항을 불러일으켰다"고 추천 사유를 밝혔다. 그는 "벨라루스 야권 정치인들의 용기가 매우 훌륭하다"며 "당국의 폭력 수위가 높아짐에도 평화시위를 조직하고 있다"고 말했다. 티하놉스카야, 콜레스니코바, 체프칼로는 유럽의 마지막 독재자로 불리는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의 26년 철권통치를 끝장내겠다며 전면에 나선 여전사들이다. 티하놉스카야는 올해 8월 대통령 선거에 직접 후보로 나섰고 콜레스니코바, 체프칼로는 선거캠프에서 핵심 역할을 했다. 당시 야권은 남성 정치인들이 모두 도피하거나 투옥된 채 이들 '잔다르크 3인방'을 중심으로 뭉쳐 전략적으로 선거를 치러냈다. 티하놉스카야는 정치와 거리가 먼 영어교사였으나 야권 블로그를 운영하던 남편이 체포되자 대신 대선후보로 투신했
[이승만 현대사 위대한 3년 1952~1954] 인보길 지음 / 기파랑 국가의 틀을 갖춘 1948년 8월 15일을 기점으로 하면, 올해가 광복 72주년이다. 해방정국의 그 혼란스러움을 딛고 이 정도의 나라를 만들어낸 선대들의 노고를 생각할 때면 고마움 그 이상의 감정을 자주 느낀다. 길어진 장마 때문에 늦은 휴가를 떠나는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은 인보길이 쓴 《이승만 현대사, 위대한 3년 1952~1954》다. 이 책은 1952~1954년 3년에 걸쳐 이승만이 강행한 세 가지 사건을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한다. 기존의 연구와 주장은 권력욕에 어두운 노정치인의 행위로 간주하고 있지만, 저자는 창조적 지도자의 혁명적 역사 창조행위로 의미를 부여한다. 또한 미완의 국가 독립 체제를 완성시킨 ‘제2의 독립투쟁’으로 평가하고 있다. 역사관은 인생관 못지않게 중요하다. 과거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석하는가는 현재를 어떻게 바라보고 살아갈 것인가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오늘날 한국 사회가 겪고 있는 혼란과 갈등의 상당 부분도 역사를 바라보고 해석하는 관점의 차이에 연유하는 바가 크다. 이번에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 한 가지 있는데, 그것은 지구상의 그 어떤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