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발언하는 송영길</strong><br>
(서울=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2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1.10.29 [국회사진기자단] toadboy@yna.co.kr](http://www.gongdaily.com/data/photos/20211043/art_16354969399818_5a1a5e.jpg)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는 29일 헌법재판소가 임성근 전 부장판사의 탄핵소추를 각하한 것과 관련, "헌법에 탄핵이 규정돼 있으나 탄핵 절차에 대한 입법적인 미비가 있어 이를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송 대표는 최고위에서 "헌법재판관 다섯 분이 각하 결정을 내렸는데 여기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임 전 부장판사의 임기가 끝나서 탄핵 심판의 실익이 없다고 각하 결정이 내려졌지만, 탄핵소추 결정이 내려지면 변호사법에 따라 5년간 변호사로 등록할 수 없는 등 여러 불이익이 있다"면서 "헌법 재판은 일반 재판이 아니고 헌법적 가치를 확인하는 의의도 가진다"고 말했다.
![<strong>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strong><br>
(서울=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2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1.10.29 [국회사진기자단] toadboy@yna.co.kr](http://www.gongdaily.com/data/photos/20211043/art_16354969395919_609423.jpg)
이어 "본안 심의가 필요하다고 한 세 분의 헌법재판관들은 전부 중대한 헌법위반 행위라고 선언한 만큼 각하 의견을 낸 다섯 분도 본안 심의를 했다면 같은 의견이었을 것"이라면서 "모든 판사는 이번 헌재 판결을 기준으로 재판 독립성을 자각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또 임 전 부장판사에 대한 국회 탄핵소추 의결을 민주당이 주도한 것과 관련, "일부 언론이 민주당의 탄핵소추 행위를 비판·지적하는 데 대단히 균형을 상실한 지적"이라면서 "삼권분립 원칙상 법관의 헌법위반 행위에 대해 국회는 탄핵소추를 할 수 있도록 헌법에 규정돼 있다. 사법이 무풍지대처럼 아무 견제를 받지 않는 권력으로 남아 있을 수는 없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강병철 강민경 기자 soleco@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본 채널은 연합뉴스와 콘텐츠 이용계약을 맺었으며, 연합뉴스 콘텐츠는 본 채널의 편집방향과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