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호주산 보리에 고율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 것에 대해 호주 정부가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할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중국 관영 매체가 호주가 적반하장식 대응을 하고 있다고 맹비난했다. 관영 글로벌 타임스는 17일 논평에서 "양국 사이의 격렬한 충돌이 지속되는 상황으로 미뤄 호주가 WTO에 중국을 제소한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며 "중국은 이에 대비했을 것이고 소송에서도 이길 자신이 있다고 믿고 있다"고 주장했다. 글로벌 타임스는 "중국과 호주의 정치적 유대관계가 경색되고 있는 상황에서 호주는 중국의 반덤핑 관세를 '정치적 보복'으로 규정하고 있다"며 "그러나 중국의 입장은 무역은 무역일 뿐 오히려 호주가 경제 문제를 정치화하고 있다고 반박했다"고 강조했다. 신문은 이어 "호주는 안보 문제를 핑계로 중국 기술 기업인 화웨이(華爲)의 5세대 이동통신(5G) 장비 도입을 금지한 첫 번째 국가"라며 "호주는 2018년 이후 12개의 중국 투자 프로젝트를 거절하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호주는 지금까지 중국 제품에 대해 무려 106건의 반덤핑 및 반보조금 조사에 착수했지만, 중국은 단 4건에 그쳤다"고 덧붙였다. 글로벌 타임스는 또 "양국 간 갈등
북한의 적반하장이 도를 넘고 있다. 북한은 30일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의 우선적 책임이 한국 측에 있다고 주장했다. “남조선 전역을 휩쓰는 악성 바이러스로 인해 어느 때보다 위험천만한 시기에 예민한 열점수역(NLL)에서 자기 측 주민을 제대로 관리·통제하지 못해 일어난 사건”이라는 것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기존 '사과' 입장을 35일 만에 뒤엎은 것은 물론, 책임을 온전히 우리 정부에 떠넘겼으며 북한을 규탄하는 야당을 향해 “남쪽에서 우리를 비방·중상하는 악담이 도를 넘고 있다”며 비난까지 서슴지 않고 있다. ‘김정은 사과’로 유화 제스처를 보였던 북한이 연일 대남 비난에 열을 올리고 발뺌으로 급선회한 것은 서해 피격 사건이 국제 인권 문제로 확대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서해 피격 사건은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유엔총회에서 “국제인권법 위반”이라고 보고했고, 국제인권단체들 또한 북한의 반인륜적 행동에 대해 심각한 국제인권법 위반이라고 지적하는 등 북한에 대한 국제적 시선이 따가운 것이 사실이다. 우리 국방부도 유엔의 자료 제공 협조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하지만 북은 여전히 침묵 중이다. 그러나 북한의 이런 행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