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이 정해 놓고 진행하는 감찰이겠지만 다른 결과가 나온다면 추 장관(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책임져야 한다”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윤석열 검찰총장을 겨냥한 4건의 감찰을 지시하며, 전례가 없는 검찰총장에 대한 감찰이 진행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제주지검 이환우 형사1부 검사는 28일 검찰 내부망 이프로스에 “목적과 속내를 감추지 않은 채 인사권, 지휘권, 감찰권이 남발되고 있다고 느낀다. 법무부 장관은 법적 역사적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며 맹비난을 퍼부었다. 현재 윤석열 검찰총장을 겨냥해서 지시된 감찰은 총 4가지 사항이다. 라임 펀드 사기 사건 관련 검사 비위를 은폐했다는 주장, 라임 사건 연류 야당 정치인 수사 덮으려 했다는 주장, 옵티머스 관련 수사 의뢰를 무혐의 처분으로 봐주기식의 수사를 진행했다는 주장, 언론사 사주들과 개인 만남에 대한 감찰이 지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감찰 대상으로 삼은 사건을 수사했던 검찰 관계자들은 감찰 주장들을 “근거 없거나 사실과는 동떨어진 주장”이라고 밝혔다. 한 검찰 간부는 “윤석열 총장이나 검찰 조직이 공정성을 잃었다고 주장할 정도로 객관적 정황이 없다”며 “법무부
윤석열 검찰총장은 22일 라임자산운용(라임) 펀드 사기 사건과 관련한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수사지휘권 행사를 겨냥해 "총장은 장관의 부하가 아니다"라며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추 장관의 수사지휘권 발동 근거가 된 라임 로비 부실 수사, 가족·측근 비위 의혹에 대해서는 "근거가 없다"며 강한 톤으로 반박했다. 여권을 중심으로 제기된 사퇴 요구를 일축하며 물러나지 않겠다는 뜻도 분명히 밝혔다. 윤 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대검찰청 국정감사에서 추 장관을 겨냥해 "중범죄를 저질러 중형 선고가 예상되는 사람들의 얘기를 듣고 검찰총장의 지휘권을 박탈하는 것은 정말 비상식적"이라고 비판했다. 수사지휘권 발동 근거가 된 법무부의 감찰 결과에 '중상모략'이라고 반응한 데 대해선 "제가 쓸 수 있는 가장 점잖은 단어"라며 전날 추 장관의 '성찰과 사과' 요구도 사실상 거부했다. 그러면서 "법리적으로 검찰총장은 장관의 부하가 아니다"라며 "만약 총장이 부하라면 국민 세금을 들여 방대한 대검 조직을 운영할 필요가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총장은 추 장관의 수사지휘권 발동 근거가 된 라임 사건에서 검사·야권 정치인 로비 은폐 의혹과 총장 가족·측근 비위 의혹에 대해서도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