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03 (화)

  • 구름많음동두천 0.6℃
  • 맑음강릉 3.6℃
  • 구름많음서울 2.8℃
  • 구름많음대전 ℃
  • 흐림대구 5.6℃
  • 흐림울산 6.4℃
  • 흐림광주 4.4℃
  • 흐림부산 8.9℃
  • 흐림고창 1.5℃
  • 구름많음제주 9.1℃
  • 흐림강화 1.2℃
  • 흐림보은 0.2℃
  • 구름많음금산 0.4℃
  • 흐림강진군 5.4℃
  • 흐림경주시 6.1℃
  • 구름많음거제 9.5℃
기상청 제공

경제

금리 오르는데…가계대출 변동금리 비중 82.3%, 8년만에 최대

올해 2∼3차례 기준금리 인상 전망에도 '거꾸로' 선택
한은·금융권 "변동금리 비중 커지면 이자 부담에 위험"

 

올해 최소 두 차례 이상의 기준금리 인상과 이에 따른 시장금리 상승이 예상되지만, 오히려 가계대출 가운데 변동금리 비율은 거의 8년 만에 최고 수준까지 치솟았다.

 

일반적으로 금리 상승기에는 미래 이자 부담 우려에 따라 변동금리보다 고정금리로 가계대출을 받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늘어나지만, 최근에는 거꾸로 변동금리 비중이 더 커지고 있다.

 

최근까지 변동금리가 고정금리를 밑돈데다, 코로나19 사태와 저금리 기조가 2년 가까이 이어지자 '향후 금리가 올라도 많이 오르지는 않을 것'이라는 인식이 그만큼 강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대출금리 7년여 만에 최고 찍었는데…변동금리 비중 커지는 '기현상'

 

3일 한국은행 최신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예금은행의 신규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대출은 17.7%를 차지했다. 10월(20.7%)과 비교해, 한 달 사이 3.0%포인트(p)나 더 떨어졌다,

 

바꿔말해 새 가계대출의 82.3%가 변동금리를 따른다는 것으로, 이런 변동금리 비중은 2014년 1월(85.5%) 이후 7년 10개월 만에 최대 기록이다.

 

변동금리 비중은 코로나19 유행 직전인 2019년에 연평균 53.0%에 불과했고, 2020년 초저금리 환경 속에서도 63.8% 수준이었다. 불과 1∼2년 사이 변동금리 비중이 20∼30%포인트나 뛴 것이다.

 

시장금리와 함께 은행권 대출금리가 2020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다시 오르기 시작해 작년 11월에는 7년여 만에 최고 수준(주택담보대출 3.51%·신용대출 5.16%, 신규취급액 가중평균)에 이르렀지만, 이런 금리 상승 추세를 거슬러 변동금리 비중 역시 약 8년 만에 82%를 넘어섰다.

 

한은 관계자는 "금리 상승기에 변동금리 비중이 오히려 커진다는 것은 분명히 대출자와 금융기관 모두에 위험 요인"이라고 우려했다.

 

 

 

 

◇ 변동금리 0.3%p 싸서…은행 "고정금리가 유리, 기존 대출자 대환도 검토해야"

 

금리 상승기에 이처럼 고정금리 인기가 더 떨어지는 현상이 이례적이고 위험하다는데 금융권도 이견이 없다.

 

더구나 올해에도 한은이 1월 또는 2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시작으로 2∼3차례 기준금리를 더 올릴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지만, 대출자의 금리 선택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분위기다.

 

이런 현상은 무엇보다 최근까지 변동금리가 고정금리보다 더 높았기 때문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시중은행의 작년 11월 19일 기준 신규 코픽스(COFIX) 연동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3.440∼4.861% 수준이었다.

 

하지만 코픽스가 아닌 은행채 5년물 금리를 따르는 혼합형(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는 연 3.760∼5.122%로, 변동금리보다 하단이 0.320%포인트, 상단이 0.261%포인트 높았다.

 

당장 0.3%포인트 이상 고정금리가 더 비싸니, 대출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대출 기간 중 최소 0.3%포인트 이상 금리가 더 뛸 것이라는 확신이 있어야만 고정금리를 선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작년 12월 은행채 등 시장금리 급등세가 진정되면서 고정금리가 오히려 변동금리보다 낮아진 만큼, 앞으로 이 추세가 유지된다면 고정금리 비중이 조금씩 늘어날 가능성은 있다.

 

4대 시중은행의 작년 12월 31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3.710∼5.070%, 고정금리는 연 3.600∼4.978%로 변동금리가 0.1%포인트 안팎 더 높아졌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 인상기에 새로 대출을 신청하는 금융소비자는 혼합형(고정) 금리가 변동형 금리보다 유리하다"며 "코픽스 연동 6개월 변동금리의 경우 6개월 마다 기준금리가 재산정돼 금리 인상분이 누적 반영되지만, 고정 금리의 경우 5년간 기준금리가 정해져 금리 인상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더구나 올해 2∼3차례(0.5%∼0.75%p)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만큼 향후 금리 인상에 대비해 고정금리 선택을 고려할만하다"고 덧붙였다.

 

기존 변동금리 대출자 역시 중도상환수수료,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등을 꼼꼼히 따져 고정금리로 갈아타는 방법(대환대출)을 검토해야 한다는 게 은행권의 공통된 조언이다.

 

[표] 시중은행 대출 금리 및 지표 금리 추이

 


※ KB·신한·하나·우리은행 자료 취합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이지헌 김유아 오주현 기자 shk99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본 채널은 연합뉴스와 콘텐츠 이용계약을 맺었으며, 연합뉴스 콘텐츠는 본 채널의 편집방향과 무관합니다.]

 

[자유민주주의 스토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