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결혼 21.4만건, 49년 만에 최대 감소…"코로나·집·일자리...여건 안돼"
지난해 결혼 건수가 23년 만에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하며 역대 최소 기록을 갈아치웠다. 결혼은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는 인식이 확산하는 데다 코로나19 여파로 고용·부동산시장 불안정 등 결혼 여건도 나빠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한 전체 이혼은 소폭 줄었으나 20년 이상 함께 산 부부들의 '황혼이혼'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혼인신고 기준) 건수는 21만4천건으로 1년 전보다 10.7%(2만6천건) 감소했다. 이는 1970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소치다. 감소율은 1971년(-18.9%)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두자릿수 감소율은 외환위기 시절인 1997년(-10.6%) 이후 23년 만에 처음이다. 이로써 혼인 건수는 2012년 이후 9년 연속 감소를 기록했다. 1996년까지만 해도 43만건에 달했던 혼인 건수는 1997년 외환위기를 거치며 30만건대로 떨어진 뒤 2016년 20만건대까지 추락했고, 이제는 10만건대 진입을 코앞에 두고 있다. 인구 1천명 당 혼인 건수를 뜻하는 조혼인율은 전년 대비 0.5건 줄어든 4.2건이었다. 조혼인율 역시 1970년 이후 최저치다. 김수영
- Hoon Lee 기자
- 2021-03-18 1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