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시선] 짐 크로법의 재림?…퇴장 반세기 미국서 여전한 논쟁
미국의 인종 차별 역사는 현재진행형이다. 미국에서는 노예 제도와 그 잔재인 인종 분리 정책으로 인해 오랜 기간 흑인을 차별하는 제도가 유지되다가 공식적으로는 사라졌다. 그러나 1964년 흑인 차별을 금지한 민권법에 이어 1965년 흑인의 투표권을 보호하는 투표권법 제정으로 자취를 감추는가 싶었던 흑백 차별 법률이 최근 다시 논란이 됐다. 조지아주를 비롯한 여러 주가 투표권을 제한하는 법을 만들어 이른바 '짐 크로법' 논란이 일면서다. 짐 크로법은 흑인과 백인을 차별하는 법률을 망라하는 용어다. 짐 크로는 1820∼1830년대 백인 배우가 흑인 분장을 하고 나와 음악과 율동을 선보인 쇼와 그 인기를 업고 퍼진 유행가에 등장한 흑인 이름이다. 그러나 이는 흑인을 비하하는 말로 널리 사용됐고 이후 흑백 차별법을 통칭하는 용어로 자리잡았다. 미국의 흑백 차별 문화는 뿌리가 깊다. 인권 보호의 보루인 연방 대법원조차 과거에는 차별을 인정했다. 1857년 '드레드 스콧' 판결이 대표적 사례로, 사법 역사상 최악의 판결 중 하나로 꼽힌다. 이 사건은 노예 출신 흑인 스콧이 소송을 낼 자격이 있는지를 다룬 것인데, 대법원은 흑인은 헌법상 시민에 포함되지 않으며 헌법이 시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