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하지 않고 부모와 함께 사는 30대가 전체의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은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는 인식이 확산하는 가운데 주거·고용 불안이 이어지면서 자연스레 비혼을 택하는 사람도 늘어나는 추세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통계플러스 2021년 봄호'에 따르면 30대 미혼 인구 중 부모와 동거하는 사람의 비율은 54.8%로 집계됐다. 이는 통계개발원이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20% 표본조사)를 바탕으로 20∼44세 미혼 인구의 세대 유형을 조사한 결과다. 연령집단별로 보면 30∼34세 중 부모와 동거하는 사람이 57.4%, 35∼39세는 50.3%로 각각 집계됐다. 40∼44세의 경우 미혼 인구의 44.1%가 여전히 부모와 함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20∼44세) 미혼 인구를 통틀어 부모와 함께 사는 사람의 비율은 62.3%였다. 부모와 함께 사는 미혼 인구의 경우 42.1%가 비취업 상태로 집계됐다. 취업자 비율은 57.9%에 그쳐 경제적 자립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반면 독립적인 경제생활을 꾸려가는 청년 1인 가구는 취업자 비율이 74.6%로 부모 동거 가구보다 16.7%포인트 높았다. 주거 형태별로 보면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인
지난해 결혼 건수가 23년 만에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하며 역대 최소 기록을 갈아치웠다. 결혼은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는 인식이 확산하는 데다 코로나19 여파로 고용·부동산시장 불안정 등 결혼 여건도 나빠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한 전체 이혼은 소폭 줄었으나 20년 이상 함께 산 부부들의 '황혼이혼'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혼인신고 기준) 건수는 21만4천건으로 1년 전보다 10.7%(2만6천건) 감소했다. 이는 1970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소치다. 감소율은 1971년(-18.9%)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두자릿수 감소율은 외환위기 시절인 1997년(-10.6%) 이후 23년 만에 처음이다. 이로써 혼인 건수는 2012년 이후 9년 연속 감소를 기록했다. 1996년까지만 해도 43만건에 달했던 혼인 건수는 1997년 외환위기를 거치며 30만건대로 떨어진 뒤 2016년 20만건대까지 추락했고, 이제는 10만건대 진입을 코앞에 두고 있다. 인구 1천명 당 혼인 건수를 뜻하는 조혼인율은 전년 대비 0.5건 줄어든 4.2건이었다. 조혼인율 역시 1970년 이후 최저치다. 김수영
중국에서 6년 연속 혼인율의 하락 및 이혼율의 증가에 따라 출산율도 급감하고 있다. 중국매체는 18일 중국의 혼인건수가 2014년부터 매년 감소해 2019년에는 1천만 건 아래로 떨어졌다고 보도했다. 중국통계에 따르면 이는 2019년 혼인건수는 927만건으로 전년대비 8.5%가 준 샘이다. 매체는 결혼이 줄어드는 원인으로 결혼 적령기 인구 감소, 평균 결혼 연령 증가, 만혼·비혼 증가, 높은 집값, 경제 부담 등을 꼽았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에서1인가구 비율이29.34%로 광동이 가장 높았고, 이어 상해, 절강성 순위였다.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이혼율도 증가하고 있는데 중국통계에 따르면 2019년 이혼건수는 470만건으로 전년대비 5.4% 증가했다. 출산율 또한 감소하고 있어 지난 19일 중국 매체 펑파이에 따르면 중국이 심각한 저출산 문제를 겪고 있는 동북 3성 지역에 산아제한정책 전면 완화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동북 3성은 2015년에 이미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합계출산율이 0.55에 불과했다. 지난해 중국 전체적으로도 호적 등록을 마친 신생아 수는 전년 대비 약 15% 감소했다. 이에 리지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