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언론은 도쿄올림픽을 계기로 추진된 문재인 대통령의 방일과 한일 정상회담이 끝내 무산된 것은 '성과'를 내세운 한국 정부와 '의례'(儀禮)에 집착한 일본 정부가 결국 타협점을 찾지 못한 결과라고 진단했다. 아사히신문은 20일 한국 정부가 물밑 접촉 과정에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 참석했던 아베 신조(安倍晋三) 당시 총리가 문 대통령과 1시간 가량 회담한 점을 들어 일본 측에 같은 대응을 요구하며 공식 정상회담을 문 대통령 방일 조건으로 내세웠다고 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예우 외에 문 대통령의 방일에 따른 성과가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한국 정부가 방일 성과로 염두에 둔 것은 일본 정부가 한국 대법원의 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사실상의 경제보복 조치로 2019년 7월 단행한 반도체 소재의 대(對) 한국 수출 규제 철회 등이었다. 이에 대해 일본 측은 정상회담을 하겠다는 입장을 보이면서도 방일한 다른 나라 정상과 같은 수준의 짧은 회담을 주장했다. 아사히는 일본 정부가 문 대통령의 '특별대우'에 부정적이었던 것은 양국 간 최대 현안인 위안부·징용 피해자 문제와 관련해 정상회담 개최 전제 조건으로 한국 정부가 모종의 해결책을 제시해야
청와대는 19일 도쿄올림픽을 계기로 한 문재인 대통령의 일본 방문 및 한일 정상회담 여부와 관련해 "현재 양국이 협의하고 있으나 여전히 성과가 미흡하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 방일과 관련한 한일 양국 간 협의 상황을 이같이 전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막판에 대두된 회담의 장애에 대해 아직 일본 측으로부터 납득할만한 조치가 없는 상황이어서 방일과 회담이 성사될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가 언급한 '막판에 대두된 회담의 장애'는 소마 히로히사(相馬弘尙) 주한일본대사관 총괄공사의 문 대통령을 겨냥한 성적(性的) 발언 파문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소마 총괄공사의 경질 방침을 보도했으나,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CBS 라디오에 출연해 "일본이 특정 언론을 통해 슬그머니 입장을 밝히는 것은 수용할 수 없다.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이 전달돼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청와대는 이르면 이날 중 문 대통령의 방일 여부를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청와대는 그동안 문 대통령 방일의 전제 조건으로 '성과 있는 한일 정상회담'을 제시하며 의례적인 정상회담 가능성을 거론해온 일본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