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6일 북한이 전날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한 것과 관련해 "대화의 분위기에 어려움을 주는 일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경기 평택 해군 2함대사령부에서 열린 ‘제6회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에 국민 여러분의 우려가 크신 것을 잘 알고 있다. 지금은 남북미 모두 대화를 이어 나가기 위해 노력해야 할 때"라며 이같이 말했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포괄적 대북정책을 검토 중인 상황에서 북한의 무력 도발이 미국 내 강경론을 부추기며 남북·북미 대화 재개를 위한 노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전날 북한은 함경남도 함주 일대에서 오전 7시 6분과 7시 25분 등 2차례에 걸쳐 단거리탄도미사일 2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 올해 초 미국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첫 탄도미사일 발사로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상임위원회 긴급회의를 개최하고 “미국의 대북정책 검토가 진행되는 가운데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이뤄진 데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문 대통령은 “국민통합의 힘이야말로 가장 강력한 국방력이며 안보”라며 “강한 국방력과 안보로
야권은 23일 연평도 포격 10주기를 맞아 순직 장병과 희생자들에게 애도를 표하면서 “북한은 조금도 변한 게 없다”며 문재인 정부의 대북관을 맹비난했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비대위 회의에서 "연평도 도발은 휴전협정 이래 우리 영토와 국민 대상으로 대규모 군사 공격을 감행한 대표적 사례"라며 정부를 향해 "안보에 구멍이 뚫리면, 국민의 생명이 위협받는다는 점을 깊이 인식하라"고 했다. 비대위원들은 이날 회의에 앞서 희생자에 대한 묵념의 시간을 갖기도 했다. 김은혜 대변인은 논평에서 "10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 안보 상황은 그때보다 나아진 게 없다"며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형체도 없이 폭파하고, 우리 국민을 총살하고 불태워도 이 정부는 잠잠하다"고 비판했다. 유승민 전 의원은 이날 대전 현충원에서 열린 연평도 포격 10주기 추모식을 찾았다. 그는 페이스북에서 "지금의 북한은 조금도 변한 게 없다"며 "김정은 앞에만 서면 한없이 작아지는 문 대통령, 국방부, 민주당. 변한 건 이들"이라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을 향해 "'북한에 당당하게 사과를 요구해달라'는 고(故) 서정우 하사 어머니의 외침에 국군통수권자로서 답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국민의당 안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