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그룹회장들 "이자유예 등 기업지원, 선별적 방식 전환 필요"
한국 금융계를 주도하는 5대 금융그룹 회장들은 대체로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라 피해 기업에 대한 이자 유예 등 금융지원도 '선별적'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지난해 사상 최대 폭으로 불어난 가계대출은 급증의 가장 큰 요인인 주택·전셋값이 안정되지 않는 한 올해에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부동산 자금 유입 억제와 대출 부실 관리 등의 차원에서 금융 그룹들은 올해도 작년 하반기와 마찬가지로 '신용대출 조이기' 기조를 유지할 계획이다. ◇ "일시적 유동성 부족과 무관한 한계기업은 구조조정 필요" 연합뉴스가 3일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금융그룹 회장을 상대로 신년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이들은 코로나19로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는 기업들에 대한 금융 지원은 계속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하지만 구조적 부실과 한계가 우려되는 기업·업종의 경우, 대출 만기 연장·이자 유예 등 일괄적 지원보다는 별도의 '맞춤형 구조조정'이 바람직하다는 견해가 우세했다.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은 "대출 만기 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는 일시적 유동성 부족을 겪는 중소기업·소상공인의 경영난 해소를 위한 조치이므로 코로나19 장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