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실시한 내년 부산·서울시장 보궐선거 공천 여부를 물은 전 당원투표를 두고 여야는 계속해서 신경전을 주고받고 있다. 민주당은 당원들의 판단이라고 의미를 부여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말 바꾸기’라며 화력을 집중했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3일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공천 문제와 관련해 "매우 높은 찬성률로 당원들이 후보자를 내서 유권자 심판을 받는 것이 옳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중앙위원회의에서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후보 공천과 관련해 여러 논의와 비판이 있다는 걸 저도, 중앙위원도, 당원 동지 여러분도 잘 알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에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 자리에서 "민주당이 말하는 전 당원 투표는 '앞말을 뒤집는다'는 뜻으로 사전에 올라야 할 것"이라고 비꼬았다. 주 원내대표는 서울·부산 시장 후보 공천을 위한 더불어민주당의 전 당원 투표와 관련해 "민주당은 급할 때마다 전 당원 투표를 동원해 말을 뒤집었다"며 "민주당은 투표율 26.35%로 요건을 못 갖춰 폐기해야 하는데도 단순히 여론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라고 또 말을 바꿨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가 '도덕적인
더불어민주당은 3일 중앙위원회를 열어 내년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 후보를 내기 위한 당헌 개정을 완료한다. 현행 당헌은 '당 소속 선출직 공직자가 부정부패 등 중대한 잘못으로 직위를 상실해 재보궐 선거를 하는 경우 해당 선거구에 후보자를 추천하지 않는다'고 돼 있는데, 여기에 '전 당원 투표로 달리 정할 수 있다'는 단서 조항을 추가한다. 민주당은 지난달 31일부터 이틀간 권리당원 투표를 진행한 결과 투표자의 86.64%가 당헌 개정 및 재보선 공천에 찬성한 바 있다. 민주당은 당헌 개정을 마무리한 뒤 중앙당 공직선거후보자 검증위, 선거기획단 구성 등 본격적인 선거 준비에 착수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2vs2@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본 채널은 VOA 뉴스와 연합뉴스와 콘텐츠 이용계약을 맺었으며, VOA 뉴스와 연합뉴스 콘텐츠는 본 채널의 편집방향과 무관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공천 여부를 묻는 전당원 투표를 마무리하고 사실상 공천 수순에 들어갔다. 민주당은 1일 오후 6시 전당원 투표를 종료했다. 민주당은 전당원 투표 결과를 2일 오전 최고위원회의 때 공개할 예정이다. 투표에서는 '공천 찬성' 여론이 크게 우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앞서 공천 여부를 묻는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70% 이상 찬성으로 조사됐다"며 "당원 투표도 비슷하게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당내에서도 반대 의견이 있기 때문에 '공천 찬성 70%' 정도를 기대 수준으로 잡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민주당 권리당원 게시판에서는 공천 찬성론자들의 의견이 주를 이뤘다. 한 당원은 "후보 공천을 통해 시민의 심판을 받는 것이 옳은 일"이라며 "유권자의 선택권은 필수"라고 밝혔다. 다른 당원은 "정당이 존재하는 이유는 정권을 잡기 위한 것인데, 잘못했다고 해서 후보를 내지 않는다는 생각 자체가 말이 안 된다"며 찬성 의견을 냈다. 다만 스스로 만든 당헌을 뒤집고, 그 명분을 얻기 위해 당원 투표에 떠넘긴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당 안팎에서 나온다. 민주당은 올해 4·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법안에 기권표를 행사했다는 이유로 당의 징계 처분을 받았던 더불어민주당 금태섭 전 의원이 21일 민주당을 전격 탈당했다. 금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민주당을 떠나며'라는 제목의 글에서 "더 이상은 당이 나아가는 방향을 승인하고 동의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며 "마지막 항의의 뜻으로 충정과 진심을 담아 탈당계를 낸다"고 밝혔다. 금 전 의원은 탈당 결심의 배경으로 "편 가르기로 국민들을 대립시키고 생각이 다른 사람을 범법자, 친일파로 몰아붙이며 윽박지르는 오만한 태도가 가장 큰 문제"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 편에 대해서는 한없이 관대하고 상대방에게는 가혹한 '내로남불', 이전에 했던 주장을 아무 해명이나 설명 없이 뻔뻔스럽게 바꾸는 '말 뒤집기'의 행태가 나타난다"고 했다. 또 "건강한 비판이나 자기반성은 '내부 총질'로 몰리고, 입을 막기 위한 문자폭탄과 악플의 좌표가 찍힌다"며 "당의 지도적 위치에 계신 분들마저 양념이니 에너지니 하면서 잘못을 바로잡기는커녕 눈치를 보고 정치적 유불리만을 계산하는 모습에는 절망했다"고 적었다. 금 전 의원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 때 "언행 불일치"라며 당내에서 거의 유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