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25차례나 부동산 대책을 내놨지만 서울 강남구 아파트값이 3.3㎡당 평균 3천만원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2천만원 이상 오른 서울의 자치구도 9곳에 달하며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도 3.3㎡당 2천만원 가까이 올랐다. 문 대통령이 수차례 “투기 억제와 집값 안정을 위해 필요한 모든 수단을 강구하겠다"," 반드시 집값은 잡겠다”고 공언한 것과는 사뭇 다른 결과다. 24일 부동산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 리브온의 주택가격동향을 분석한 결과 서울 평균 아파트값은 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 3.3㎡당 2천326만원에서 지난달 4천194만원으로 1천868만원 올랐다. 상승률은 80.3%에 달한다.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강남구로, 3.3㎡당 평균 4천397만원에서 7천492만원으로 4년여만에 3천95만원(70.4%) 뛰었다. 이어서 서초구가 3천831만원에서 6천470만원으로 2천640만원(68.9%) 올랐고, 송파구가 2천870만원에서 5천348만원으로 2천478만원(86.3%) 올라 이른바 '강남 3구'가 서울 집값 상승액 상위 1∼3위를 모두 차지했다. 실제로 국토교통부 부동산 실거래 정보에 따르면 강남구
'천만 도시'로 불리던 서울시가 인구 감소로 32년 만에 1천만 명 타이틀을 잃게 됐다. 1988년 처음으로 1천만(1천29만 명)으로 1천만 명을 돌파한 이래 줄곧 '천만 도시' 위상을 지켜온 서울시의 인구가 32년 만에 1천만 미만으로 줄어든 것이다. 3일 서울시는 관내 내국인 주민등록인구(행정안전부 통계)와 외국인 등록인구(법무부 통계)를 더한 총인구가 지난해 말 기준 991만1천88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내국인이 966만8천465명, 외국인이 24만2천623명이다. 6·25전쟁 휴전 직후인 1953년 서울 인구는 101만명에 불과했다. 이후 서울 인구는 도시화·산업화에 따른 유입으로 1970년에 500만명을 돌파했다. 서울올림픽이 열린 1988년 1000만을 넘었고 1992년 1천97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내국인 인구는 이미 2016년부터 1천만 미만(993만 명)을 기록했고, 이에 더해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외국인 인구까지 줄어든 것이 전체 인구 감소에 영향을 줬다. 1년 전보다는 9만9천895명(-1.00%)이 줄었는데, 내국인 인구가 0.62%(6만642명) 감소한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