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연례 기자회견에서 러시아가 이웃 국가를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로부터 안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준비설로 역내 긴장이 최고로 고조된 가운데 나온 발언이다.
푸틴 대통령은 그러면서 서방이 법적 효력을 가진 문서 서명을 통해 러시아에 대한 안보 보장을 서둘러 제공하라고 거듭 압박했다.
그는 "다른 나라를 위협하는 측은 러시아가 아니다"라면서 "러시아가 미국과 영국 국경으로 접근했는가. (그들이) 우리 국경으로 온 것"이라고 몰아세웠다.
또 우크라이나가 나토 가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렇게 되면 우크라에 배치되는 나토 무기가 바로 턱밑에서 러시아를 위협할 것이라면서 "만일 러시아가 캐나다나 멕시코와 미국 국경에 미사일을 배치했다면 미국이 어떻게 행동했겠나"라고 따져 물었다.
러시아인들의 마음속엔 1991년 소련 붕괴 후 지금까지 러시아가 서방의 세력 확장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당해만 왔다는 피해의식이 자리 잡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나토의 동진(東進)을 꼽는다.
러시아는 1990년 나토의 입장을 대변한 제임스 베이커 당시 미 국무장관이 통일 독일에 나토군 주둔을 허용할지를 고민하던 소련의 미하일 고르바초프 대통령에게 한 약속을 자주 거론한다.
나토 측은 당시 "나토 관할지는 동쪽을 향해 1인치도 이동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으나 이 약속을 저버리고 동진을 계속해왔다는 것이 러시아가 배신감을 토로하는 이유다.
실제로 나토는 1999년에는 헝가리·폴란드·체코를, 2004년에는 발트 3국(에스토니아·라트비아·리투아니아)과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 옛 소련권 7개국을 진영으로 끌어들이며 옛 소련권으로 확장해 왔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도 나토가 더는 동진을 하지 않겠다는 1990년대의 구두 약속을 어기고 다섯 차례나 확장을 계속했다고 비난했다.
하지만 나토는 지난 2014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속했던 크림반도를 무력 합병하면서 동유럽 지역 안보에 대한 서방과의 합의를 먼저 깨트린 것으로 판단한다.
주권국의 영토를 무력으로 병합한 것은 명백한 국제법 위반이며, 동유럽 안보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라는 것이다.
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 친러 분리주의 반군을 무력 지원하며 나토와 유럽연합(EU) 가입을 추진하는 우크라이나를 부당하게 압박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하고 있다.
서방은 러시아가 주권국인 우크라이나의 외교 노선에 개입할 권리가 없으며, 우크라가 나토에 가입할지 여부는 오로지 양측의 선택에 의해 결정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미국과 나토는 러시아의 위협으로부터 주권을 지키려는 우크라이나를 보호한다는 명분에 따라 무기와 각종 군사지원을 제공하고, 수시로 연합훈련도 하고 있다.
나토는 크림 사태 이후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에 대한 대응을 명분으로 동유럽 지역 전력 증강도 추진해왔다.
2016년엔 에스토니아·리투아니아·라트비아 등 발트 3국과 폴란드·루마니아·불가리아 등에 나토군을 배치하기로 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9일 우크라이나 사태로 안보 위협을 느끼는 폴란드, 리투아니아, 헝가리 등 중유럽 9개국에 대한 군사력 증강을 약속했다.
실제로 옛 소련에 속했던 발트 3국과 러시아에 오랜 역사적 구원(舊怨)을 가진 폴란드는 러시아의 군사 침공 가능성을 특히 민감하게 느끼고 있다.
안보 위협을 둘러싼 러시아와 서방의 공방은 사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는 논쟁과 유사한 난해함을 안고 있다.
근본적 문제는 냉전 시절 쌓인 러시아와 서방 진영 간 불신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데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러시아와 서방은 일단 내년 1월로 예정된 협상에서 서로의 입장을 설명하고 타협책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모스크바=연합뉴스) 유철종 특파원 cjyou@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본 채널은 연합뉴스와 콘텐츠 이용계약을 맺었으며, 연합뉴스 콘텐츠는 본 채널의 편집방향과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