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공공기관 부채가 545조원에 육박하는 규모로 3년 연속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자본이 더 많이 늘어 재무건전성을 보여주는 부채비율이 1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점은 긍정적이다. 당기순이익도 1년 새 6.5배 넘게 증가하면서 8년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3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350개 공공기관 중 산업은행·수출입은행·기업은행을 제외한 347곳의 부채 규모는 544조8천억원으로 전년보다 17조9천억원 증가했다. 이는 공공기관 부채를 집계해 공시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최대치다.
유형별로 보면 36개 공기업 부채가 397조9천억원, 96개 준정부기관 부채가 125조7천억원, 215개 기타공공기관 부채가 21조2천억원이다. 347개 공공기관 중 전년 대비 부채가 가장 많이 늘어난 기관은 한국전력공사으로, 전년보다 3조8천억원 늘어난 132조5천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347개 공공기관 자본 규모는 357조6천억원으로 전년보다 23조7천억원 증가했다. 이에 따라 부채와 자본을 합친 자산 규모도 902조4천억원으로 41조6천억원 증가했다. 공공기관 자산 규모가 900조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건설·매입 임대주택 투자를 늘린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자산이 185조2천억원으로 전년보다 8조8천억원 증가했다. 도로 투자로 유료도로관리권이 늘어난 한국도로공사 자산도 69조2천억원으로 3조4천억원 늘었다.
이에 따라 347개 공공기관 부채비율(자본 대비 부채)은 152.4%로 전년보다 5.4%포인트 내렸다. 36개 공기업(182.6%)과 96개 준정부기관(114.1%)은 0.4%포인트씩 내린 반면 215개 공공기관(72.0%)은 8.0%포인트 올랐다.
특히 LH, 도로공사, 수자원공사, 철도공사, 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 중장기재무관리계획 대상기관 39개의 지난해 부채비율은 160.4%였다. 중장기재무관리계획 대상 기관은 공기업·준정부기관 중 자산 2조원 이상이거나 자본잠식 상태인 기관, 정부 손실보전 조항이 있는 기관이다.
기재부는 지난해 수립한 2020∼2024년 중장기재무관리계획에서 지난해 부채비율 목표치를 172.2%로 설정했는데 실제 부채비율은 이보다 11.8%포인트 낮아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이들 39개 기관의 부채는 509조4천억원으로 계획 대비 12조2천억원 줄었고 자본은 317조5천억원으로 계획 대비 14조6천억원 늘었다.
347개 공공기관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5조3천억원으로 전년보다 4조5천억원 늘었다. 2017년(7조3천억원) 이후 최대이며 8년 연속 흑자다.
국제유가 하락으로 비용을 줄인 한전은 당기순이익이 2조1천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2019년에는 2조3천억원의 적자를 냈었다. 코로나19 사태로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 위생 관리가 강화되면서 의료 수요가 줄어 비용을 절약한 건강보험공단의 당기순이익도 1조6천억원으로 전년보다 5조2천억원 증가했다.
그러나 한국석유공사(-2조4천억원)는 유가 하락으로 당기순손실이 전년보다 2조3천억원 확대됐다. 인천국제공항공사(-4천억원), 강원랜드(-3천억원)는 코로나19 사태 영향으로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36개 공기업은 6천억원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96개 준정부기관과 215개 기타공공기관은 각각 3조1천억원, 2조8천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보였다.
기재부 관계자는 "자산 증가 규모가 부채 증가 규모보다 크고 당기순이익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자보상배율이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는 등 재무건전성이 크게 개선 중"이라고 덧붙였다.
[본 채널은 연합뉴스와 콘텐츠 이용계약을 맺었으며, 연합뉴스 콘텐츠는 본 채널의 편집방향과 무관합니다.]
공데일리는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사실, 진실, 정론'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아래의 메일로 많은 제보와 참여 부탁드립니다.
hoon.lee@gong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