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자동차 기업 중 한 곳인 폭스바겐이 앞으로 자사 전기차에 '각형' 배터리 탑재를 확대하겠다고 밝히면서 '파우치형' 배터리를 공급하던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096770]에 타격이 불가피하게 됐다.
폭스바겐은 15일 진행한 '파워 데이' 행사에서 새로운 배터리셀은 각기둥 모양(prismatic)으로 전고체 배터리로 전환에 최적의 조건을 제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폭스바겐은 2030년까지 생산하는 모든 전기차 중 80%에 이 새로운 배터리셀을 도입할 예정이라고도 밝혔다.
전기차용 배터리는 형태에 따라 원통형과 파우치형, 각형으로 나뉜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은 파우치형 배터리를 주력으로 삼고, 중국 CATL과 삼성SDI[006400]는 각형 배터리, 일본 파나소닉은 원통형 배터리를 주력으로 삼는다.
이번 결정으로 이제까지 폭스바겐에 파우치형 배터리를 공급해오던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은 악영향이 불가피하다.
폭스바겐의 대중 브랜드 전기차 플랫폼인 MEB 플랫폼의 경우 유럽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최대 공급업체이고, SK이노베이션이 2위 공급업체로 알려졌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폭스바겐에 이제까지 파우치형 배터리를 납품해온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에 당황스러운 소식일 수밖에 없다"며 "기존 고객사 프로젝트 수주를 강화하고, 제품 유형을 다변화해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폭스바겐에 파우치형 배터리를 공급해왔지만, 파우치형 외에도 테슬라와 신생 전기차 기업 등 여러 고객사를 대상으로 원통형 배터리를 생산해 납품하고 있다.
이와 달리 SK이노베이션은 파우치형 배터리 제품만을 만들고, 미국 사업에서 폭스바겐에 대한 의존도도 높은 편이라 영향이 더 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반면 각형을 주력으로 폭스바겐에 배터리를 공급해온 중국 CATL은 반사이익을 얻으며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더 높일 것으로 보인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CATL은 2017년부터 4년 연속 글로벌 시장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다.
폭스바겐이 각형을 선택한 배경에는 여러 해석이 나온다.
우선 폭스바겐 매출의 40% 이상이 중국에서 발생하는데, 중국의 메이저 배터리 회사인 CATL이 각형을 채택하고 있어 중국에서의 전기차 사업을 고려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폭스바겐은 현재 스웨덴 배터리 업체 노스볼트와 손잡고 독일 잘츠기터에 배터리셀 공장을 추진 중인데, 폭스바겐이 각형 배터리를 주력으로 삼는 노스볼트와 기술 협의를 하면서 각형으로 결정된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최근 폭스바겐은 2030년까지 유럽에서 판매되는 폭스바겐 차량의 70%를 전기차로 채우고, 미국과 중국 시장에서의 전기차 비중을 50% 이상으로 올리겠다고 발표하며 전기차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전기차 투자 비용을 확보하기 위해 직원을 최대 5천명 줄이기로 했고, 매년 최소 1개 이상의 신형 배터리 기반 전기차를 선보일 예정이다.
에너지전문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전기차(EV, PHEV) 배터리는 각형이 70.8GWh(기가와트시)로, 전체의 49.2%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각형 배터리의 비율은 전년보다 7.6%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 중심의 파우치형 배터리는 40.0GWh로 전체의 27.8%를 차지했고, 원통형 배터리는 23.0%(33.2GWh)였다.
파우치형 배터리는 전년 대비 11.8%포인트 증가했다. SNE리서치는 "파우치형의 주요 공급사인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을 중심으로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탑재량이 급증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김철선 기자 kcs@yna.co.kr<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본 채널은 VOA 뉴스와 연합뉴스와 콘텐츠 이용계약을 맺었으며, VOA 뉴스와 연합뉴스 콘텐츠는 본 채널의 편집방향과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