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00대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에 한국 업체는 삼성전자[005930] 1개 뿐인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시가총액 기준 상위 100개 ICT 기업(S&P 캐피탈 IQ 기준)에 한국 업체는 삼성전자가 11위로 유일하게 포함됐다.
미국은 애플, 넥플릭스, 테슬라 등 57개, 중국은 알리바바 등 12개, 일본과 유럽은 각각 11개와 10개가 이름을 올렸고 인도는 3개다. 각국 증시에서 시총 상위 5개 ICT 기업을 보면 차이가 크다.
미국은 5개 기업 시총 합이 8천92조원으로 우리나라 올해 본 예산의 16배에 달하고 중국은 2천211조원이다. 한국은 530조원으로 미국의 15분의 1, 중국의 4분의 1에 그쳤다.
포털과 전자상거래 기업만 보면 네이버와 카카오[035720] 시총을 합해도 83조원으로 중국 징둥닷컴(120조원)에 못 미친다.
전경련은 네이버와 카카오의 해외 영향력이 미미해서 시가총액 증가 추세가 느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주요 ICT 기업의 10년간 시총 증가속도를 봐도 한국이 미국, 중국보다 저조하다고 전경련은 전했다. ICT 상위 5개사 시총 합계 연 평균 증가율이 미국은 29.4%, 중국은 70.4%인데 한국은 23.4%였다. 전경련은 디지털 산업으로 재편이 아직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국은 10년 전엔 석유회사 엑손모빌이 독보적인 1위 기업이었지만 2012년 애플에 자리를 내줬다.
유통 서비스 분야에선 아마존과 월마트가 10년간 연 평균 시총 증가율이 각각 39.6%와 7.1%로 큰 차이를 보였다. 전경련은 국내 제조업이 성장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디지털혁신을 가속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전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시총이 보여주는 기업가치는 시장 전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미래향방을 제시하는 의미가 있다"며 "카카오가 시총 10위권에 진입하는 등 제조업 중심의 한국 경제가 변곡점을 맞고 있지만 주요국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라고 진단했다.
그는 "IT 강국 위상을 이어가려면 디지털 혁신과 기존 산업과의 결합을 위한 창의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최윤정 기자 merciel@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공병호 논평: 한국 산업의 위상과 한국경제의 역동성 그리고 성장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 보게 만드는 소식입니다. 한국은 산업화 단계에서 선두그룹에 서서 적응하고 개척해 나갔지만, 디지털화 과정에서는 그 역동성의 상당 부분을 잃어버렸습니다. 언제까지 삼성전자를 손에 꼽으면 살 것인가?
산업성장사나 국가의 부침사에서 발견할 수 있는 흥미로운 사실은 뭔가 괜찮게 돌아갈 때 새로운 성장축이나 성장 교두보를 마련하지 못하면 쪼그라들거나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는 사실입니다. 이것은 자연계를 관통하는 법칙의 하나로 캐시카우가 원활할 때 새로운 것을 준비할 수 있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우리들에게 분명히 제시하고 있다. 개인이든, 기업이든, 나라든 공통점이 있다.
[본 채널은 VOA 뉴스와 연합뉴스와 콘텐츠 이용계약을 맺었으며,
VOA 뉴스와 연합뉴스 콘텐츠는 본 채널의 편집방향과 무관합니다.]